Total. 3334
공자가 벼슬을 살았을 때 세 가지 형이 있었다. 즉 정도(正道)를 행할 만하다고 보고 벼슬을 산 견행가의 사관, 대우가 예로서 하기 때문에 벼슬을 산 제가(際可)의 사관, 군주가 현량한 인재를 길러 주어서 벼슬을 산 공양(公養)이 사관이다. 공자는 노(魯) 나라 계(季)환(桓)자(子)에게서는 정도를 행할 만한다고 보고 벼슬을 살고, 위(衛) 나라 영공(靈公)에게서는 예(禮)로 받아들여져서 벼슬을 살고, 위 나라 효공(孝公)에게서는 현량한 인재를 길러 주어서 벼슬을 살았다. -맹자 오늘의 영단어 - sanity : 정신 멀쩡함, 제정신, 건전함, 건강군자는 말이 행함보다 앞서는 것을 부끄러워한다. -공자 알고 있으면서도 말하지 않는 것은 하늘의 경지에 들어가는 최상의 길이다. -장자 내게 능력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. 대사불호도( 大事不糊塗 ). 큰 일에는 잔재주를 부리지 않는다. -잡편 이상적인 남자는 남자의 강인함과 여자의 부드러움을 함께 갖고 있다. -탈무드-오늘의 영단어 - plumbing : (수도,가스)배관상태, 수도상태오늘의 영단어 - factional : 도당의, 당파의, 파벌의오늘의 영단어 - poach : 밀렵하다, 침입하다, 도용하다, 빼내다, 스카우트하다